한글인터넷주소
신규 등록
기간 연장
서비스 소개
홍보방법
서비스 동참현황
파트너 모집
비즈니스 파트너
지역정보 파트너
게시판 바로가기
고객 지킴이
주소창 살리기
토론게시판
한글주소 문의
CEO 방명록
유관기관
한글인터넷주소 추진총연합회
한글인터넷주소 분쟁위원회
사용자평의회
이전 Top
청년 실업 80만! 청년실업률 21년 만에 최고
정부, ‘제2기 벤처기업 육성 대책’ 발표
현재의 창업 환경은 어떠한가?
2000년대 초 벤처의 전성기를 만든 인터넷!
2004년 경 부터 한글인터넷주소가 검색으로 전용되기 시작
한글인터넷주소, 과연 넷피아만의 이슈인가?
근본적인 해결책은 무엇인가?
 
2009년 11월 기준 공식 자료에 따르면 청년실업자 32만 5천명, 상당수 청년임을 감안해야할 취업준비생 51만 1천명을 포함하면 실제 청년실업자수는 81만 명이나 되고, 한 통계 자료에 따르면 올해 55만 명이 대학문을 나섰지만 취업에 성공한 경우는 38만 명에 그쳤다고 한다. 좀 과장해서 2명 대졸자 가운데 1명이 백수로 남아 있는 셈이다. 대졸자 취업난은 청년실업 문제를 가중시키고 있다.
 
[관련기사]
정부, 녹색기술 등 제2기 벤처기업 육성대책 마련  [헤럴드경제]
정부, 2013년까지 녹색전문벤처기업 1천개 육성  [이투데이]
중기청, "벤처기업 육성대책" 발표  [매일경제]
 
창업 초기에는 마케팅이 매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며, 요즘 인터넷을 통하지 않는 마케팅은 불가능
현재 키워드 검색광고를 제외한 마땅한 온라인 마케팅 수단은 찾아보기 힘든 상황이며 키워드 광고 시장은 연간 1조 원 규모로 증가하고 있음
하지만, 비용대비 효과에 대한 문제, 그리고 부정클릭 등의 문제로 인해 피해보는 중소기업 역시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 한 수익성 악화의 문제로 많은 기업들이 문을 닫고 있는 실정
[참고기사]
[취재현장] '검색'도 광고...돈 낸다  [KBS뉴스라인]
포털 검색광고 매출 3000억원 해외 유출’  [전자신문]
'헛클릭'에 헛돈펑펑…눈물펑펑  [조선일보]
내 검색어를 노리는 사람들  [한겨레21]
 
- 한글인터넷주소를 기반으로 보다 손쉬운 창업이 가능
 
 
 
1. “한글인터넷주소”의 제도권화 추진
지난 6월“인터넷주소자원에 관한 법률”이 개정 공포
개정된“인터넷주소자원에 관한 법률”에서는 그동안 국내의 기술은 법안으로 보호될 수 없는 부분이 개선되어 국제표준뿐만 아니라 국내 기술로 만든 국가표준도 인터넷주소로 인정되므로 “한글인터넷 주소”가 제도화될 수 있는 길이 열림
현재 “한글인터넷주소”는 정보통신 단체 표준으로 되어 있으나 국가표준이 되기 위한 절차를 거치고 있으며, 중소기업의 경쟁력과 청년실업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라도 곧 가시화될 것으로 기대
정부가 이를 제대로 실행하는 용기와 지원이 절실하고 많은 기업들의 동참과 국민적 공감대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2. 제도권화 이전에 모든 통신사가 한글주소 살리기에 동참해야!
ISP 등 통신사에서 한글주소 가로채기를 근원적으로 방지하고 복원시켜 연간 수천억 원(2009년 기준 약 4,000억 원)의
키워드 광고 해외 유출을 막고, 편한 한글주소로 ISP (통신사)의 잠재고객을 늘리는 일(창업 등)에 앞장서야 함
수천억 원의 외화유출은 곧 청년실업을 늘어나게 하는 근본 원인이며, 편한 한글주소로 창업이 증가하게 함으로서 청년 실업문제를 근본적으로 해소하는 지름길
이와 같은 문제에 통신사와 뜻있는 모든 국민들이 이제는 앞장서야 할 때입니다.
 
  전화 : 02-3665-0123   고객상담 : 02-2165-3000   FAX : 02-2671-5613   e메일 : 고객상담@넷피아콥
Copyright (C) 1995 - 2025 Netpia, Inc. All rights reserved.